어떻게 경제적 자유를 얻을 것인가
전략적, 전술적 자산 배분
- 전체 포트폴리오의 위험과 수입 프로파일 설계 톱다운
- 전술적인 편입 비중 조정
- 자산군 내 세부자산 선택 보텀업
진짜 부자 가짜 부자
회계를 배워라
자산 - 부채 = 자본 수익 - 비용 = 이익
조달비용보다 투자 수익이 크면 괜찮
수익과 비용을 구분하는 기준 자동으로 들어오는 시스템 수익은 얼마나 되는가?
- 시스템 수익
- 반자동 수익
- 노동 수익
- 투자 수익
- 기타 수익
지출 구분
- 생계 비용
- 소비지출
- 주거비
- 교육비
- 의료비
- 교통비
- 통신비
- 기타지출
- 사치 비용
세후실질수익률이 중요
투자의 재발견
레비리지 효과를 포함한 투자수익률을 맹목적으로 높이는 것이 아니라, 자산수익률이 높은 자산을 모아가야 한다
레비리지 비율: p 레버리지 이율: r 자산 대비 수익률: s
투자수익률(ROI) = 자산수익률(ROA) - (레버리지 비율 * 레버리지 이율) / (1 - 레버리지 비율)
역전세가 일어난다면?
전국과 서울의 전세가는 상관관계 높음 전세가 예측 = 전세가격지수 * 전세 거래량
옵션 프리미엄 = 내재가치 + 시간가
우리의 뇌는 어떻게 배우는가
나는 학벌보다 돈이 좋습니다만
부동산 고르기
- 아파트 매물 많이 갖고 있는
- 네이버 지도에서 가까운 부동산
- 아파트 근처 위치 + 상호에 아파트 이름
중개소에서 정보 얻기
- 아파트 선호 동, 왜 그런지
- 근처 초등학교 / 아이들 어느 길로 다님
- 학원은 어디? 어떻게 다니는지
- 옆 아파트와 비교시 어떤지
- 왜 이 아파트 선호?
- 주로 어디에서 일하는지
- 출퇴근 시 버스정류장 어디
- 지하주차장 엘베 연결 여부. 주차장 어떤지. 주차장 이용 어디가 편한지.
- 아파트 이미지가 동네에서 어떰
- 주로 어느 연령대 거주
부동산 상승 논리
아파트는 실사용 가치 지닌 재화. 그 위 자산의 속성. 인플레이션을 등에 업고 장기적 우상향 전국 종합주택 매매가격지수
상승/하락 사이클은 수요와 공급에 답이 있음 사이클이 비슷한 지역이 잇음. 예를 들어 서울/경기/인천은 비슷. 하지만 대구, 부산은 다름.
상승/하락 중요 수치는 미분양
입지분석
개략적 입지파악 뒤 평당가 순으로 아파트를 살펴봄, 왜 이 순서대로 가격 서열이 정해졌는가?
세금
취득세 보유세 종부세 일반과세 양도세 중과